사전 자료형
- 키와 값(value)의 쌍을 데이터로 가지는 자료형 (리스트나 튜플이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과는 대비됨)
- 키와 값의 쌍을 데이터로 가지며, 원하는 변경 불가능한(Immutable) 자료형을 키로 사용할 수 있음
-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므로 데이터의 조회 및 수정에 있어 O(1)의 시간에 처리할 수 있음
- keys() 함수 = 키 데이터만 뽑아 리스트로 이용
- values() 함수 = 값 데이터만 뽑아 리스트로 이용
집합 자료형
- 집합은 중복 허용 x 순서 x 의 특징 -> 데이터 존재 유무 체크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
- 리스트 혹은 문자열을 이용해 초기화 가능 -> set() 함수 이용
- 중괄호({})안에 각 원소를 콤마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삽입함으로써 초기화 가능
- 데이터의 조회 및 수정에 있어 O(1) 시간에 처리
data = set([1,2,3])
data.add(4)
data.update([5.6])
data.remove(3)
집합 자료형의 연산
- 합집합 : 집합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는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(A|B)
- 교집합 : 집합 A에도 속하고 B에도 속하는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(A&B)
- 차집합: 집합 A의 원소 중에서 B에 속하지 않는 원소들로 이루어진 집합 (A-B)
사전 자료형과 집합 자료형의 특징
- 리스트나 튜플은 순서가 있기 때문에 인덱싱을 통해 자료형의 값을 얻을 수 O
- 사전 자료형과 집합 자료형은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 X ->사전의 키 혹은 집합의 원소를 이용해 O(1)의 시간 복잡도로 조회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