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pring2 DAO, DTO, VO DAO(Data Access Object) **`데이터베이스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`** DB를 사용해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을 전담하도록 만든 오브젝트 DTO(Data Transfer Object) VO(Value Object)로 바꿔 말할 수 있는데 **`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`** 자바 빈즈 계층 -> 컨트롤러, 뷰, 비즈니스 계층, 퍼시스턴스 계층 각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를 DTO 또는 VO라고 부른다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(getter & setter만 가진 클래스) VO(Value Object) 값 오브젝트로써 값을 위해 쓰인다 VO는 DTO와 동일한 개념이지만 read only 속성을 가진다 DTO와 유사하지만 DTO는 setter를 가지고.. 2022. 7. 25. Interceptor 컨트롤러에 들어오는 요청 HttpRequest와 컨트롤러가 응답하는 HtppResponse를 **가로채는 역할** 원하는 추가 작업이나 로직을 수행한 후 `Handler`로 보내줄 수 있도록 해주는 `Module` 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 페이지에 접근하기 전에 관리자 인증을 하는 용도로 활용 **Filter**(Servlet 앞,뒤에서 HttpRequest, HttpResponse을 가로채는 역할)와 **분명히 다름** Filter Interceptor 호출 시점 DispatcherServlet 실행 전 DispatcherServlet 실행 후 설정 위치 web.xml spring-servlet.xml 구현 방식 web.xml에 설정 설정, 메서드 모드 구현 필요 ![img](https://t1.. 2022. 3. 11. 이전 1 다음